⚠ 이 강좌는 오토핫키 v2를 다룹니다
지금 보시는 강좌는 과거 오랜 시간동안 알려진 오토핫키(v1.1)의 차세대 버전인 오토핫키 v2를 다루고 있습니다.
만약 구버전인 '오토핫키 v1.1'의 강좌를 찾으신다면 프날 오토핫키 강좌(https://pnal.kr)를 봐주시면 되지만,
새로 오토핫키를 배우신다면 v2 버전을 배우시는 것을 강력히 추천드립니다.
59. 강좌를 마치며
안녕하세요. 수고하셨습니다.
오토핫키가 v2는 기존 버전에 비해 모호했던 많은 점이 수정되었고 더욱 명확해졌습니다. 그 결과 많은 부분이 기존과 호환되지 않기에 강좌를 새로 써야만 했습니다.
GUI 프로그래밍까지 강좌하고 싶지만, 그 방법에 대해선 고민하고 있습니다. 기초 강좌에 걸맞은 내용인지, 인터넷에 글을 올리는게 제일 나은 방법인지 등 말이지요. 대부분 오토핫키를 이용하는 이유 중 하나가 자동화 프로그래밍(매크로)이기 때문에, 사실 기초적인 자동화 프로그래밍과 오토핫키 입문에 관련된 내용만 이 페이지에 남기는게 낫지 않나 싶기도 하고, 조금 더 심화적인 내용은 다른 분들이나 다른 교재에 맡겨도 되지 않나 생각이 들기도 하고요.
아무튼 조금 기다려 주시면 GUI 프로그래밍과 조금 더 복잡한 내용(문자열 Parsing 등)을 어떤 방법으로 강좌할지 말씀드리겠습니다. 이 강좌가 오토핫키 v2의 입문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
2023.03.27. 추가
GUI와 객체 등 부분을 추가한 Part 3강좌를 본 홈페이지에 이어서 올리기로 했습니다. 다만, 강좌가 작성될 때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 제가 매일같이 글을 쓸 순 없기 때문에, 천천히 작성하면 최소한 반년 이상, 어쩌면 1~2년 정도를 기다려야할 수 있습니다. 당분간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공식 문서로 들어가셔서 스스로 공부하시거나, 다른 사람(현 시점에서 있는진 모르겠습니다.)의 강좌를 참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.
그러나 천천히, 조금씩 후속 강좌를 준비하겠으니 기다려주세요. 양해 부탁드립니다.
원하는 기능을 찾는 법
SciTE4AutoHotkey에서 스크립트를 편집하다가 F1 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도움말 파일이 나타납니다.

상단의 'Index' 부분에 알고자 하는 함수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. 원하는 기능의 키워드를 검색하면 그 키워드로 시작하는 함수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파일과 관련된 명령을 찾고싶다면 아래와 같이 검색할 수 있겠죠.

예를 들어서,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면 위의 목록에서 'File, creating'을 눌러볼 수 있습니다.

위와 같이 FileAppend
라는 함수의 원형이 나와있고, 각 매개변수의 설명이 적혀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영어가 조금 되신다면 이를 통해 배움을 계속 해나가시면 되겠습니다.
배움은 계속될 수 있습니다
이곳까지 강좌를 모두 보신, 새로운 배움을 해내신 여러분! 앞으로도 멋진 여러분의 배움을 응원합니다.
앞으로 프로그래밍을 능숙히 하시게 되면 문득 떠오르는 그런 강좌가 되었길 바랍니다.
- 58. 종합 프로그래밍 문제 for Part 2
- 강좌의 끝입니다.